본문 바로가기
IT

구글 플레이 게임즈 앱 플레이어

by ㅞ 2022. 10. 13. 03:06

유튜브 보다가 광고 나오길래 알게 된 앱 플레이어이다.

구글에서 만들었으니 뭔가 더 매끄럽지 않을까 해서 설치해보았다.

설치 페이지 : https://play.google.com/googleplaygames

아직 베타 버젼이지만 공식 출시는 이번년 후반부터라고 공지하고 있다.(2개월도 안남았는데 언제?)

근본이 앱 플레이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CMOS와 윈도우에서 가상화 지원을 활성화 해주어야 한다.

CMOS에서는 고급 - CPU 구성 - SVM 모드를 활성화 해준다.

그리고 윈도우에서 제어판 - 프로그램 추가제거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Hyper-V와 그 안에 관리도구와 플랫폼까지 체크해주고 재부팅한다. 

이제 설치 페이지에서 구글 플레이 게임즈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다.

설치 경로를 변경하거나 할 수는 없고, 무조건 OS 드라이브에 설치된다.

실행 후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하고, 모든 게임 목록에서 맨 아래로 내려서 성인 인증을 마저 해준다.

게임 대표 이미지를 보면 좌측 상단마다 다운로드 이미지가 있거나 없거나 한다.

다운로드 이미지가 있으면 앱플레이어에서 다운로드가 진행되어 PC에 설치가 된다.

반대로 다운로드 이미지가 없는 게임들은 이전부터 Windows에 설치를 지원했던 게임이라 기존과 동일하게 설치해주면 된다.

특히 얼마 없는 게임 중에서 유독 NC 게임들은 죄다 목록에 포함되어 있고, NC의 모든 게임들이 다 윈도우 설치 방식이다.

시험삼아 아스팔트 9를 설치를 해보았는데, 게임 설치 경로도 지정을 할 수 없었다.

이상한게 설치가 끝나고도 5분이 지났는데 앱의 램 점유율이 7GB에서 안내려간다.

그래서 앱 플레이어를 완전히 종료 후 재실행을 하니까 앱의 램 점유율이 4GB로 내려왔다.

램 관리가 전혀 안되는 것 같았다.

게임이 전체화면으로 실행된 후 튜토리얼을 진행하면서 앱의 램 점유율을 보니 8GB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엔비디아 익스피리언스나 MSI 애프터버너를 실행해봤지만 프레임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서 실제 프레임은 측정하지 못하였다.

체감상으로 볼 때는 렉이 걸린 적은 없지만 전반적으로 프레임이 낮을 때 부드럽지 못하고 답답한 느낌이 강하게 느껴졌다.

생각보다 일반적인 앱 플레이어와 구동면에서 별로 차이가 없는 듯 해서 게임 종료 후 지워버렸다.

 

 

지울 때는 설치의 역순으로 프로그램 제거 후 Hyper-V 기능을 꺼주고, CMOS에서 SVM 모드를 비활성화 해주면 된다.

그리고 Windows Power Shell을 관리자로 실행하여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off 를 입력해준다.

나는 시중 앱 플레이어들과 별 차이가 없기에 굳이 쓸 필요 있나 싶어서 지우긴 했지만 구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라 신뢰도가 높은 점은 고려하면 좋을 것 같다.

댓글